본문 바로가기

쓰기

<주식베스트>는 <트레이더's주식> 게시판에서 추천을 많이 받은 게시물입니다.

간단한 주식매매하는 법을 알아봅니다.

주식매매에 엄청난 비법과 엄청난 노력이 들어야 하는 것 같지만 조금만 생각해봐도 쉽게 주식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주식매매법은 사람마다 천차만별이어서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방법을 쓰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서 소개하는 것은 그 다양한 방법 중 간단하면서도 아주 쉬운 매매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행운의트레이딩캠프> 상단의 조건종목을 보면 <주목! 볼린저밴드 돌파하다>란 조건항목이 있습니다.

이건 쉽게 얘기하면 볼린저밴드 상한선을 돌파한 종목 중 괜찮은 종목을 매수한다는 얘기입니다.

다들 알고 있고 너무 간단해 보여서 많은 사람들이 별로 관심을 주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

2014-12-07_030916.png


2014-12-07_031012.png


전략이 공개된 조건종목과 공개되지 않은 전략종목의 조회수 차이가 많은 이들의 심리를 대변한다고 생각합니다.

공개되서 알려진 것보다는 알려지지 않은 뭔가 신비한 것을 더 추종하려는 심리가 많은 사람들을 지배하고 있는 거라고 봅니다.

알려지지 않은 것이 공개된 것보다 뭔가 월등한 것이 있지 않을까하는 기대감의 반영이라고도 볼 수 있을텐데

그래서 사람들이 무슨무슨신화, 아니면 비기 이런 말들에 혹해서 그쪽으로 우르르 몰려가는 모양입니다.

?

주식이나 지수나 모두 가격으로 움직이는 것들은 그것들이 움직여가는 흐름의 단계나 관문들이 있습니다.

그걸 한쪽은 공개했고 다른쪽은 공개안한 것이지 그게 어느쪽이 우열이 있다없다는 없다고 봅니다.

단, 리스크를 부담하는 차이는 있다고 봅니다.

예를 들면, 볼린저밴드를 돌파한 조건이 W를 잡는 조건보다 훨씬 덜 리스크합니다.

반면 둘다 성공했을 때는 W가 이익이 더 큽니다. 결국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인 셈입니다.

?

볼린저밴드 상한선을 돌파했을 때 매수하는 이유는 뭘까요?

그건 가격으로 표시되는 모든 것들이 상승할 때 거쳐야 하는 첫관문이자 첫단추이기 때문입니다.

하락하다가 상승으로 전환하기 위해선 반드시 볼린저밴드를 돌파해야 합니다.

볼린저밴드 돌파 이후에는 상승이 지속해서 성공하는 케이스와 상승이 이어지지 못하고 실패하는 케이스로 나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찾아내야 할 것은 볼린저밴드를 돌파한 종목 중에서 이후에도 상승이 지속될 수 있는 종목일 것입니다.

하지만 볼린저밴드돌파 이후 상승지속유무를 판단해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

그래서 일단 간단한 매매원칙을 세웁니다.

<볼린저밴드 상한돌파 매수 --- 볼린저밴드 하한이탈 매도>

?

2014-12-07_050552.png


무슨 종목을 가지고 설명할까 하다가 그냥 최근에 관심을 준 S-OIL가지고 설명하기로 합니다.

S-OIL이 볼린저밴드를 돌파하지 못하고 밑으로 꼬꾸라지다가 지난 11월 중순 쯤 볼린저 밴드를 돌파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S-OIL이 볼밴을 돌파하지도 않았는데 앞에서 저가매수했던 경우들은 줄줄이 물려서 하세월만 낚는 아픔을 겪고 있을 거로 봅니다.

그래서 바닥잡으려하지 말고 반드시 상승을 확인하고 매수하라는 말이 나오는데

그 상승을 확인하는 첫단추이자 첫관문이 볼린저밴드를 돌파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종목을 매수할 때 최소한 이 종목은 볼린저밴드를 돌파한 종목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고서 시작해야 한다는 말과도 같습니다.

돌파하지도 않았는데 주가가 많이 떨어졌다고 매수하면

?

?

2014-12-07_055935.png


이렇게 됩니다.

S-OIL같은 우량종목이 이렇게 떨어질리는 없지, 이건 좋은 기회야 하면서 떨어질 때마다 물타기를 했다면

거의 반토막이 날 때까지 물타기를 하게 됩니다.

그런데 상승을 확인하는 볼린저밴드 돌파 후?매수하겠다는 원칙을 세웠다면 어떻게 됐을까요?

S-OIL이 아무리 우량주고 어떤 재료나 뉴스가 현혹시키건 [절대로!] 매수를 안했을 것입니다.

저런 하락구간을 간단하게 피해갈 수 있습니다.

?

그런데 왜 저런 현상이 발생하는 걸까요?

기업은 성장하지 않으면 정체하거나 쇠퇴하는 것밖에 없습니다.

정체되었을 때는 볼린저밴드가 일정한 박스안에서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겠지만

쇠퇴할 때는 볼린저밴드가 하향해서 흐르게 되고 그 하향하는 흐름은 볼린저밴드를 돌파하기 전까진 상승으로 돌리지 못합니다.

하향하던 흐름 속에서 볼린저밴드를 돌파하는 상황이 발생했다는 것은

기업이 쇠퇴하다가 어느 지점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는 말과도 같습니다.

그 새로운 전기가 발판이 되어 다시 성장하기 시작하면 볼린저밴드의 흐름이 위로 바뀌겠지만

그것이 불발에 그치면 또다시 하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하락흐름을 이어가게 됩니다.

?

S-OIL은 최근에 진짜 오랜 시간이 지난후에야 볼린저밴드를 돌파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이 말은 S-OIL에 새로운 전기가 발생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게다가 이미 분석글에서도 밝혔지만 플랫폼키봉까지 발생했습니다.

유가폭락 상황 속에서 뭔가 큰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

S-OIL은 볼린저밴드를 돌파한 지금에서야 매수여부를 타진해 볼 수 있는 것이지

이전에 줄줄이 밑으로 흐를 때 가격이 싸졌다고 매수를 해서는 된다?....절대로! 안된다!는 것이죠.

이걸 보면 자신이 지금까지 매매한 주식에서 매매포인트를 잘못 잡은 부분들이 많이 찝혀질 걸로 봅니다.

?

볼린저밴드 돌파에서 매수한다고 쳤을 때, 그럼 이후에는 어떻게 흐를까가 궁금합니다.

?

?

2014-12-07_065327.png

?

이것은 성공한 예라고 할 수 있는데

2010년 5월에 돌파에 매수했다고 치면 대략 53,000원 정도에 매수했을 것입니다.

이제 볼린저밴드 하한이탈 매도포인트만 기다리면 되는데


?

2014-12-07_065429.png

?

음봉으로 볼린저밴드 하한선을 이탈하는 게 2011년 4월에서야 발생했습니다.

물론 오랜 기간 상승해서 되반등 때 파는 게 더 좋겠지만 원칙을 지켜서 음봉이탈했을 때 팔았다면

대략 140,000원 정도에서 판 셈입니다.

그냥 1년 동안 팔 신호만 나오길 기다리고 기다리다가 170% 정도 더 먹고 나오게 되는 겁니다.

엄청난 수익이고 수익률입니다.

그렇다고 마음 졸일 필요도 없고, 그렇다고 매매법이 복잡하냐면 초등생도 따라할 수 있는 정도이니 말 다한 것 아닐까요?

?

왜 이렇게 매매가 쉬웠을까요?

그것은 기업이 260선 위에서 성장하는 과정 속이었기 때문입니다.

기업이 잘 성장할 때는 쉽게 볼밴하단을 침범하지 않는다는 것,

반대로 기업이 쇠퇴할 때는 쉽게 볼밴 상단을 넘보지 못한다는 것

이것이 차트에서 기업의 현재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

어렵나요? 너무 쉽죠. 너무 쉬워서 사람들은 어려운 매매법을 찾고 있는 것일까요?

그러면 볼밴돌파매수는 실패할 때는 없을까요?


2014-12-07_071137.png


시장에서 100% 보장하는 매매법이라는 게 어디있겠습니까?

아무리 완벽한 차트, 완벽한 재료를 갖췄다고 하더라도 어느 날 갑자기 50% 유상증자같은 뉴스가 나오면?한 방에 모든 것들이 망가지는데...

볼린저밴드돌파 매매 역시 성공할 때도 있고 실패할 때도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 보면 볼밴돌파 때 매수했다고 치면 계속 상승시 홀딩하고 이익실현을 안했다면

볼밴을 깨고 볼밴하한선이 밑으로 방향을 바꾸는 지점에서 매도를 하게 됩니다.

근 4개월 동안 들고 있었는데 손에 남은 것이 없습니다.

아쉽지만 저 자리에서 원칙대로 매도해야지, 매도하지 않았다면 이후 4만원대까지 끝없는 추락의 쓴 맛을 보게 됩니다.

?

매매원칙은 너무나 간단합니다. <볼밴돌파 매수 --- 볼밴이탈 매도>??

이것만 철저히 지켜도 시장에 잠복하고 있는 수많은 위험과 리스크를 피해갈 수 있습니다.

그럼 딱 하나의 문제만 남죠? 원칙을 지키느냐? 안 지키느냐? 시장의 문제보다 자신의 문제에 귀결이 됩니다.

?

다시 위 그림 이야기로 돌아갑니다.

왜 저기서 볼밴을 돌파했음에도 성공의 예처럼 수익을 얻지 못했을까요?

그것은 260선이 뚜렷이 하향하는 와중에 260선 밑에서 돌파하는 흐름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기업이 쇠퇴하고 있는 와중에선 볼밴을 돌파했더라도 260선을 뛰어넘기 전까진 단순 반등에 그치기 쉽기 때문입니다.

그걸 뛰어넘으려면 확실한 전기와 확실한 재료가 필요합니다.

?

2014-12-07_071446.png


그렇다면 앞의 성공의 케이스도 260선에서 볼밴돌파가 발생했는데? 같아야 하는 것 아닐까 반문할 수 있을텐데

이 그림을 보면 볼밴돌파 매수포인트가 나오기 전까지 260선을 위로 돌리기 위한 물밑작업이 한창 진행됐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보다 확실한 매수포인트라고 한다면 260선 위에 올라서서 다시 볼밴을 돌파한 지점이 더 안전하고 확실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그럼 정리해볼까요?

매수매도원칙은 다들 알 것이고

기준점은 260선을 두고 그 위에서 흐름이 하락하다가 볼밴돌파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매수 후 홀딩

260선이 하락하는 와중에 그 아래서 볼밴돌파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최대 260선까지의 반등을 목표로 홀딩

어찌됐던 볼밴하한선을 이탈하면 매도

260선 밑에서 하한선을 이탈하면 절대매도

?

이 정도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일단 제가 간단하게 썰을 풀었으니, 더 디테일한 부분은 각자 연구해보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이게 단순해 보여도, 다들 엄청난 비기처럼 떠드는 매매법에 절대로 꿀리지 않을 것은 확실합니다.

왜일까요?

기업의 성장과 새로운 전기는, 그리고 주가 및 모든 가격으로 표시되는 것들의 상승은

볼밴돌파의 첫단추, 첫관문을 만들지 않고서는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고

그것이 첫 자리 부근이기에 성공했을 때는 길고긴 수익의 기간을 향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PS

물론 이런 매매법은 중대형 우량주에 적용해야 합니다.

잡주와 작전주, 소형주는 기업의 성장쇠퇴와는 무관하게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그런 종목에 적용하려고 하면 무리가 따를 수 있습니다.

profile

행운의 열쇠를 가졌나요?

  • 잘 읽었습니다. 역시 훌륭하십니다.
  • profile
    그렇게 말씀하시니 조금 쑥스럽네요.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profile
    제겐 안맞아서 버린 기법이지만 좋은 매매법이죠.
    종가를 꼭 확인하고자 하니까 수익보다 손절이 더 크더군요.
    장 중에도 종가까지 볼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 내리는 분들은 확실히 남겠습니다만.
  • profile
    자기가 매매해서 가장 맘이 편한 매매법이 최고겠죠.
제목 날짜
트레이더's주식 게시판으로 재이동시키는 케이스 2014.10.05
개인들이 주식에 물리는 이유 하나 5 file 2015.01.05
간단한 주식 매매하는 법 하나 4 file 2014.12.07
한진해운, 악마의 플랫폼구간을 벗어나다. - 매수시그널 발생 9 file 2014.12.02
아시아나항공, 잘 매집된 플랫폼을 탈출하다 - 중장기 매수시그널 발생 2 file 2014.11.29
삼성전자 역풍을 만나다 11 file 2014.11.27
뻘글> 주식투자 만 1년 총 결산. 12 file 2014.11.24
S-OIL에 발생한 키(Kye)봉 - 플랫폼구간의 시작을 알린다 6 file 2014.11.24
개미핥기를 마친 LG상사, 시세의 출발을 선전포고(?)하다. 10 file 2014.11.22
KTH, 물량털이작전 성공 이후의 흐름에 대해 8 file 2014.11.22
네패스 6 file 2014.11.18
남자의 주식, 다우데이타의 비상에 대하여 6 file 2014.11.17
한국타이어, 바닥작업을 만드는 플랫폼 키봉을 만들다. 5 file 2014.11.08
삼성전자에 발생한 키(Kye)봉 - 매수시그널 4 file 2014.11.08
태그 목록